본 콘텐츠는 전국 하천 및 호소수에 수질 현황 및 추세를 파악하기 위하여 자동수질측정망을 통해 측정되는 수질 정보를 생활환경수질기준에 따라 GIS 지도상에 색깔로 구분하여 알기 쉽게 표현하였습니다.
*수질정보
(하천)수소 이온농도(pH),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(BOD), 화학적 산소요구량(COD), 총유기탄소량(TOC), 부유물질량(SS), 총인(T-P) 총 대장균군, 분원성대장균군
(호소)수소이온농도(pH), 화학적 산소요구량(COD), 총유기탄소량(TOC), 용존산소량(DO), 총인(T-P), 총질소(T-N),클로로필-a(Chl-a), 총 대장균군, 분원성대장균군
본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수질 정보는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확정 데이터로 현재 시점의 수질등급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.
* 데이터 출처 : 물환경 정보시스템(환경부)
나의 물정보
당신이 살고 있는 곳을 클릭해주세요. 사용하시는 물의수원과 수처리 시설 등 경유 정보, 그리고 각 경유 지점의 수질 상태를 같이 알려드립니다.
경유 정보는 수돗물의 수원, 취수장, 정수장, 배수지이며, 수질 정보는 전기전도도, 탁도, pH, 잔류 염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 수질 정보의 경우 수도시설의 계측기 설치 여부 및 각 수도사업자와의 정보 제휴 여부에 따라, 지역별로 일부만 공개하거나 제한될 수 있습니다.
먹는물 수질항목
내가 먹는 물이 얼마나 안전한지 궁금하신가요?
우리가 마시는 수돗물은 환경부 먹는 물 수질기준(59항목), 먹는 물 수질감시(26항목)의 법정기준 따라 관리되고 있으며, 각 수도사업자는 취수 원수의 수질 특성에 따라 자체 기준을 정하여 추가적으로 수질감시를 하고 있습니다.
본 콘텐츠는 법정항목(수질기준, 수질감시) 외 K-water 자체 수질검사 항목(165항목)에 대한 물리적 특정, 배출원, 노출영향, 관리현황, 처리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
* 법정항목외 검사항목은 수도사업자마다 별도로 지정하여 검사하는 항목으로 본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K-water 자체 검사 항목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.
* 데이터 출처 : K-water 수질연구센터
지하수 이용안내
지하수를 개발하고자 하시는 분 또는 주변 내 주변 지하수 상태가 궁금하신 분은 클릭해주세요.
지하수 개발시 개발가능한 수량과 지하수 개발이 주변에 미치는 영향범위를 산정해드립니다.
※ 개발가능량과 영향범위는 이론적인 계산 값으로, 정확한 수치는 현장조사와 정밀 분석을 통해 산정되어야 합니다.
[ 출처 : 국가지하수정보센터, 지자체행정시스템(새올) ]
우리동네 지하수위정보
당신이 살고 있는 곳 주변의 국가지하수관측소를 찾아보세요. 장기 관측자료를 통계분석하여 과거와 현재의 지하수위 상태를 알려드립니다. 아래는 우리동네 지하수위 정보에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.
- 지하수위 현황 국가지하수관측소의 장기 지하수위 관측자료를 분석하여 과거대비 현재 지하수위 상태를 색깔별로 표현합니다. 당신이 살고 있는 곳 주변의 관측소를 찾아보고 지하수위 상태를 확인해 보세요
- 기본통계분석 국가지하수관측소에서 관측된 지하수자료의 관측소별, 연보별로 통계값을 보여드립니다. 관심 있는 관측소의 지하수심 변동폭 등을 확인해 보세요
- 상자도식 통계분석 국가지하수관측소 관측자료를 연도별 상자도식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관심 있는 지역 또는 수계의 지하수 관측자료를 한눈에 그래프로 확인해 보세요
콘텐츠 내용에 만족하십니까?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시면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겠습니다.